DDL(Data Definition Language)은 데이터의 구조를 다루기위한 명령어.
좀더 정확하게 말하면, 데이터의 구조를 다룬다는것은 데이터베이스내 테이블의 구조( 테이블, 칼럼, 테이블 이름 ), 뷰(View), 시퀀스(sequence) 등을 정의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DDL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는 CREATE, ALTER, DROP, RENAME가 있다. DDL문을 사용하는 경우는 대부분 테이블에대한 구조를 정의하거나 테이블 칼럼의 구조 변경, 제약조건의 추가 삭제 일 것이다. 필자 역시 테이블을 대상으로 DDL문을 가장 빈번하게 사용했던 것 같다.
따라서 테이블을 대상으로 구조를 정의하거나 변경하는 DDL문을 통해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다.
1. CREATE
CREATE 명령어는 테이블의 구조를 정의 하기 위해 사용한다. CREATE 명령어를 사용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CREATE TABLE 테이블 이름 (
칼럼명1 데이터타입 { 제약조건 } { DEFAULT 옵션 },
칼럼명2 데이터타입 { 제약조건 } { DEFAULT 옵션 },
...
칼럼명N 데이터타입 { 제약조건 } { DEFAULT 옵션 }
);
사용 예) '고객' 테이블 정의
2. ALTER
ALTER 명령어는 테이블의 칼럼, 제약조건을 추가, 수정 삭제 하기위해 사용한다. 위에서 만든 '고객' 테이블을 이용하여 ALTER 명령어의 사용법을 하나씩 살펴보자.
A. ADD COLUMN
ALTER TABLE 테이블 이름 ADD COLUMN 칼럼명 테이터타입;
사용 예) '고객' 테이블에 '이름' 칼럼 추가
B. MODIFY COLUMN
ALTER TABLE 테이블 이름 MODIFY COLUMN 컬럼명 데이터타입;
사용 예) '고객' 테이블에 '이름' 칼럼의 데이터 타입의 크기를 255byte 로 변경
C. CHANGE COLUMN
ALTER TABLE 테이블 이름 CHANGE COLUMN old_name new_name column_definition;
old_name : 기존 테이블에 있는 칼럼 이름
new_name : 변경 하고자 하는 칼럼의 이름
column_definition : 데이터 타입과 제약조건
사용 예) '고객' 테이블에 'IDX' 칼럼의 이름을 'SEQ'로 변경
D. DROP COLUMN
ALTER TABLE 테이블 이름 DROP COLUMN 칼럼명;
사용 예) '고객' 테이블에서 'NAME' 칼럼 삭제
E. RENAME
ALTER TABLE old_table_name RENAME TO new_table_name
old_table_name : 기존 테이블 이름
new_table_name : 변경하고자 하는 테이블 이름
사용 예) '고객' 테이블의 이름을 변경
3. DROP
DROP 명령어는 정의된 테이블을 삭제하기 위해 사용 한다. DROP 명령어를 사용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DROP TABLE 테이블 명;
사용 예) '고객' 테이블을 삭제.
#DDL #CREATE #ALTER #DROP #RENAME
'[ MariaDB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ariaDB ] 실행계획 #2, id칼럼 (0) | 2019.12.08 |
---|---|
[ mariaDB ] 실행계획 분석 #1, EXPLAIN (0) | 2019.12.08 |
SQL 이란? (0) | 2018.09.15 |
댓글